목록STUDY/Python (10)
컴공생 누르지 마세요! 컴공생 울어요.
리스트 자료형 - 여러 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담아 처리하기 위해 사용 - C나 자바에서의 배열 기능 포함 - 내부적으로 연결 리스트 자료구조 -> append() & remove() 함수 지원 리스트 만들기 a = [1, 2, 3, 4, 5] # 인덱스 이용 접근 print(a[2]) # 3 # 빈 리스트 선언 방법 a = list() a = [] #크기가 N이고, 모든 값이 0인 1차원 리스트 초기화 n = 10 a = [0] * n print(a) # [0, 0, 0, 0, 0, 0, 0, 0, 0, 0] 인덱싱과 슬라이싱 - 인덱스가 음수면 맨 뒤 원소부터 -1로 시작. - 슬라이싱의 경우, a[시작 인덱스:끝 인덱스] - 이때, 끝 인덱스에 1을 뺀 인덱스까지 출력됨 a = [1,2,3,4,5..
수 자료형 Number 정수형 Integer -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 -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 ex) a, b = 1000, -7 실수형 Real number -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 - 소수부가 0이거나, 정수부가 0인 경우 0 생략 가능 (ex. a = 5. b = -.7) - e나 E를 이용한 지수표현 방식 사용 가능 - 유효숫자e지수 = 유효숫자X10^지수 (ex. 1e9 == 1 X 10^9) => 코테 문제에서 최단 경로로 가능한 최댓값이 10억 미만이라면 INF를 표현할 때 10억 대신 1e9 혹은 987,654,321 사용 가능 - 컴퓨터는 실수를 처리할 때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방식을 사용하는데, 4B or 8B의 고정된 크기의 메모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