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생 누르지 마세요! 컴공생 울어요.
Chap.3 Transport Layer (2) 본문
1. TCP 가 connection을 맺을 때마다 sequence number 는 항상 초기값 0으로 시작한다.
-> 거짓
2. TCP sender 가 3 Dup ACK으로 loss를 판단한 경우가 timeout으로 loss를 판단한 경우 보다 네트워크 상황이 더 나쁘다.
-> 거짓
3. TCP Sender 의 타이머는 가장 최근에 보낸 segment의 첫번째 바이트를 가리키고 있다.
-> 거짓
4. 슬라이드 35번에서 정의한 SendBase와 NextSeqNum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SendBase = 800, NextSeqNum = 1150 인 상태에서, 도착한 TCP segment의 ACK#가 1050 이다. 이후 5계층에서 110 바이트가 내려왔다고 가정하면 SendBase와 NextSeqNum는 어떤 값으로 update 되는가?
※ timeout은 무시하며, MSS=50로 가정함
※ TCP는 응용데이터가 내려오면 MSS를 꽉 채우지 못하는 양이여도 즉시 전송한다고 가정함
※ SendBase값과 NextSeqNum 값을 스페이스 하나로 구별하여 답을 작성하시오. 예) 1234 4321
-> 1050 1260
5. 호스트 A에서 일정 기간 동안 5계층 응용 프로토콜이 전송하는 메시지 량이 100MB였다고 가정할 때 TCP를 사용하는 경우 sending host에서 라우터로 실제 전송된 데이터량이 100MB를 초과할 수 있는 이유는 TCP가 loss 없는 reliable data delivery를 구현하기 때문이며, congestion control이나 flow control 과는 무관한 현상이다.
-> 참
6. TCP Sender 가 sending rate을 조정할 때 TCP receiver 의 receive buffer 상태는 고려해서 조정하나 중간 라우터의 버퍼 상황까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 거짓
7. 다음 TCP 에 관한 설명 중 틀린것은?
하나를 선택하세요.
a. fast retx을 위해서 TCP sender는 duplicate ACK을 3개까지 기다려본다. 1 혹은 2개가 아닌 3개까지 기다리는 이유는 네트워크에서 drop되지는 않았으나, 늦게 도착하는 패킷 (delayed not lost packet)을 loss로 오판하여 불필요한 retx을 막기 위해서이다.
b. TCP가 네트워크 상황이 좋을 때 공격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려면 sending rate을 높여야한다.
c. sender TCP는 rwnd와 cwnd 의 평균값으로 sending rate 을 조정한다.
d. TCP congestion control은 중간 라우터의 도움 없이 일어난다.
e. TCP가 loss 발생을 감지한 경우, 네트워크 라우터 버퍼의 혼잡으로 간주하여 sending rate 을 낮춘다.
-> c
8. 다음 빈칸을 send 혹은 receive 중 하나로 채우시오.TCP가 사용하는 <send> buffer는 TCP receiver 가 순서에 맞게 segment들을 받았는지 확인될 때까지 보낸 segment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시 재전송을 위해 필요하며,<receive> buffer 는 TCP sender 가 data를 보내는 속도와 상위 어플리케이션이 그 data를 가져가는 속도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
9. TCP Sender가 네트워크로 전송한 데이터량이 증가하면 할 수록, TCP receiver의 throughput은 증가한다.
-> 거짓
10. TCP Sender 가 segment를 보내놓고 retx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타이머의 timeout 값은 네트워크의 실제 RTT 값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 참
11. TCP fairness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것은?
하나를 선택하세요.
a. Bottleneck link를 TCP user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응용이 TCP connection을 non-persistent with parallel 옵션으로 동시에 다중의 TCP 소켓을 연다면 persistent TCP connection을 여는 응용보다 어느 시점에 더 많은 링크 대역폭 사용하게된다.
b. UDP와 TCP가 bottleneck link를 공유하는 경우 TCP는 congestion control을 위해 전송율을 낮추는 반면, UDP는 응용이 내려보내는 속도 그대로 전송하므로 UDP user가 TCP user보다 해당 링크 대역폭을 더 많이 사용하게되는 불공정성이 발생할 수 있다.
c. 모든 응용들이 persistent TCP만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해당 응용들은 특정 라우터 RT에 연결된 특정 링크의 대역폭(R)을 공정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각 응용이 동작하는 host와 RT 사이의 거리 (number of hops)와는 무관하다.
-> c
12. (congestion control) 3장 연습문제 P14번의 a의 답은 (6) RTT 이고 b의 답은 (8.5) MSS/RTT이다.
13. 슬라이드 #3-27에서와 같이 호스트 B가 79번째 byte로 시작하는 segment를 보내면서 동시에 ACK number = 43을 함께 보내는 방식을 뭐라고 하는가? ※ 한국어, 영어 모두 OK
-> Piggyback
14. 다음 빈칸을 rwnd 혹은 cwnd 중 하나를 넣으시오.
<rwnd>는 TCP receiver 의 receive buffer의 잔여량을 의미하는 파라미터로, TCP receiver 가 TCP header에 넣어 TCP sender 에게 알려줌으로써 sending rate를 조정하게 하는 flow control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cwnd>는 TCP Sender 의 local parameter로 망 상황을 간접적으로 예측하여 조정하는 값이다.
15. 만일 TCP sender가 timeout 값을 조정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네트워크 라우터의 buffer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것은?
하나를 선택하세요.
a. 라우터 버퍼가 증가하여 더 많은 데이터가 동시에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throughout 은 증가하게된다.
b. 결과적으로 Throughout 이 감소하게된다.
c. TCP sender 가 delayed packet 을 loss 로 오인하는 현상이 빈번해 진다.
d. TCP sender 가 불필요한 retx을 하게되는 현상이 증가하게된다.
e. RTT가 증가한다.
f. 중간 라우터의 buffer에 TCP receiver 가 이미 받은 packet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a
16. 두 호스트 P와 Q가 통신하고 있다. 호스트 P가 ACK-bit가 1인 TCP 세그먼트 받았을 때, acknowledgement number 필드에 적힌 값이 1150이였다. 이 경우 호스트 Q의 TCP receiver가 in-order로 전송된 모든 데이터에 대해서는 ACK했다고 가정한다면, receive buffer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가장 최근에 전송된 byte의 sequence number는? (해당 TCP는 out-of-order로 전송된 데이터는 버린다고 가정한다.)
-> 1149
17. 다음 TCP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하나를 선택하세요.
a. TCP는 timeout 값은 넉넉히 설정하고 pipelining과 cumulative ack을 이용해서 timeout 전에 loss를 유추하는 이중 방법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b. TCP receiver 가 생성하는 ACK segment의 ACK number는 항상 in-order delivery를 위해 받아야하는 다음 byte 의 sequence number 이다.
c. TCP sender가 timeout 값을 지나치게 작게 잡으면 네트워크 지연에 의해 수신측에 늦게 도착하는 패킷 (delayed packet)을 loss로 오판하게 되어 불필요한 재전송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고 이는 네트워크 자원 낭비로 이어진다.
d. TCP receiver 는 out-of-order delivery를 인지한 경우 곧바로 ACK을 전송한다.
e. TCP가 RTT 를 측정할 때 retransmission 을 배제하는 이유는 TCP receiver 가 동일한 ACK를 두번 받을 수 있기때문이다.
f. TCP sender가 timeout 값을 지나치게 길게 잡으면 패킷 loss 감지 및 필수적인 재전송이 늦게 일어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위 5계층 응용이 느끼는 서비스 품질 중 end-to-end latency가 나빠지게 된다.
-> e
18. 버퍼는 크기가 아무리 작아도 버퍼 입력율이 버퍼 출력율 보다 항상 작다면 overflow가 발생하지 않는다.
-> 참
'STUDY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5 Network Layer (2) (0) | 2021.12.01 |
---|---|
chap.5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1) (0) | 2021.11.24 |
chap.4 Network Layer (2) (0) | 2021.11.17 |
chap.4 Network Layer (1) (0) | 2021.11.10 |
Chap.3 Transport Layer (1)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