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생 누르지 마세요! 컴공생 울어요.

chap.5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1) 본문

STUDY/컴퓨터 네트워크

chap.5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1)

당도최고치악산멜론 2021. 11. 24. 16:52
(13-1) 다음 중 Exterior gateway protocol (EGP) 에 해당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하나를 선택하세요.
a. RIP
b. OSPF
c. BGP 
d. IS-IS
-> c. BGP 

(13-2) Distance Vector algorithm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어떤 ISP에서 5개의 라우터 a, b, c, d, e가 일렬로 연결되어있다. 즉 ISP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a -- b -- c -- d -- e 이다. 이때 라우터 a에서 e로 가는 최종경로 정보는 시스템이 가동한 후 (3) 번의 메세지 교환 후에 알게되며, 최종 a에서 e로 가는 경로의 cost, 즉 Da(e)는 4 홉이 된다. 

 

(13-1) Distance vector algorithm으로 경로계산을 하는 R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라우터는 해당 ISP 안의 다른 모든 라우터들에게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메세지로 전달한다.

-> 거짓

 

(13-1) Link State routing algorithm은 각 라우터들이 속한 ISP의 전체 network topology 정보를 모두 알고 path selection 계산을 시작하므로 라우터들은 각자의 local network topology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RIP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 거짓

 

(13-1) N개의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나머지 (N-1)개의 노드로의 least cost path를 Dijkstra's algorithm을 사용하여 계산한다면, (N-1)개의 path는 tree 구조를 형성한다.
-> 참
 
(13-1) N개의 라우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가진 ISP의 라우터가 Dijkstra's algorithm을 사용하여 경로를 계산한다면 해당 ISP의 모든 라우터들은 각 자신의 local newtork topology 정보를 직접 연결된 이웃 라우터들에게만 전송한다.
-> 거짓
 
(13-1) RIP, BGP는 Distance Vector (DV) routing algorithm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Decentrailzed routing 정보를 사용하므로 각 라우터가 path selection을 계산할때 전체 network topology 정보는 모른다.
-> 참

 

(13-1) RIP, OSPF, BGP 모두 네트워크 내부의 오류 발생시,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path selection algorithm에 반영하여 새로운 경로를 계산할 수 있는 dynamic routing algorithm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들이다.

-> 참

 

(13-1) Routing Protocol 은 라우터들간에 주고받는 message의 format과 order를 정의하고있으며, path selection algorithm을 포함하고 있다.
-> 참
 
(13-1) 라우터의 control plane은 라우터들끼리 주고받는 routing protocol message를 포함한 패킷을 처리하고, 라우터의 data plane은 end host에서 출발한 가입자의 message를 포함한 패킷을 처리한다.
-> 참
 
 
(13-1)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RIP, OSPF, BGP 프로토콜들은 모두 load-sensitive cost를 사용한다.
-> 거짓
 
(13-1) 어떤 ISP에 5개의 라우터 A, B, C, D, E가 일렬로 연결되어있다. 즉 ISP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A -- B -- C -- D -- E 라면, 라우터 C의 neightboring router들은 B와 D 이고, E의 neighboring router는 D 이다.
-> 참

 

(13-1) 어떤 ISP에서 5개의 라우터 A, B, C, D, E가 일렬로 연결되어있다. 즉 ISP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A -- B -- C -- D -- E 이다. 만일 라우터 A에서 Distance vector algorithm으로 라우터 E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를 계산할 경우 A는 c(B, C), c(C, D), c(D, E) 값을 모두 알고 계산한다.  % c(B,C)는 라우터 B와 C 사이의 비용을 의미함. 
-> 거짓
 
(13-1) 인터넷에서 특정 source host와 destination host 사이에는 다양한 e2e path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전통적인 라우터에서 사용되는 forwarding table에는 하나의 subnet으로가는 여러개의 path 정보가 저장되어있다.
-> 거짓
 
(13-1) 전통적인 라우터에서 사용되는 path selection algorithm들 중 경로에 포함된 각 링크의 대역폭, 에러율, (output buffer의) 혼잡도 등의 성능을 비용(cost)로 표현하여 최소비용 path를 선택하는 알고리즘도 있는데, 이때 링크 혼잡도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여 의도치 않는 비효율적인 패킷 전송이 발생할 수 있므로 실제 인터넷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참
 
(13-1) 하나의 ISP 안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Interior gateway protocol (IGP)라고 하고, 여러 ISP를 거쳐가는 경로를 계산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Exterior gateway protocol (EGP)라고한다.
-> 참
 
(13-2) Distance Vector algorithm을 사용하는 경우 network topology에 따라 모든 라우터들이 안정적인 라우팅테이블 정보를 얻기까지 소요되는 시간(convergence time)이 다양할 수 있다.
-> 참

 

(13-2) Distance Vector algorithm을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들 중 RIP는 multicast로 메세지를 전송하므로 layer 4 프로토콜로 UDP를 사용하는 반면, BGP는 layer 4 프로토콜로 TCP를 사용하여 unicast 방식으로 메세지를 전달한다.
-> 참

 

(13-2) Distance Vector(DV) algorithm에서 발생할 수 있는 Count to infinity 문제는 임의 링크의 cost가 좋아질 경우, 즉 cost가 더 작아지는 경우에 발생하는것으로 일시적으로 특정 라우터들 사이에 routing loop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 거짓
 
(13-2) Distance Vector(DV) algorithm에서 발생할 수 있는 Count to infini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 라우터(가령 A)에게서 얻은 정보로 update한 라우팅엔트리는 다시 그 라우터A에게 주지 않는 Split Horizon 방식이 있으나 이는 세개 이상의 라우터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loop은 막을 수 없다.
-> 참
 
(13-2) Distance Vector(DV) algorithm을 사용하는 BGP 라우팅 프로토콜은 30초마다 자신의 라우팅테이블(DV)를 이웃노드에게 전달한다.
-> 거짓
 
(13-2) ISP에서 임의의 라우터가 전송한 메세지에 오류가 발생할 수있다. 이때 만일 해당 ISP가 Link state(LS) algorithm을 사용할 경우 Distance Vector(DV) algorithm을 사용할 경우보다 그 영향이 더 크다.
-> 거짓
 
 
(13-2) Link state algorithm을 사용하는 ISP의 각 라우터들은 자신의 local link 정보를 ISP안의 다른 모든 라우터들에게 전달하는 반면, Distance Vector algorith을 사용하는 ISP의 각 라우터들은 자신이 알고있는 라우팅정보 전부(라우팅테이블)를 직접 연결된 이웃 라우터들에게만 전송한다.
-> 참

 

(13-2) Link State(LS) algorithm을 사용하는 ISP의 각 라우터들이 전송하는 한개의 메세지 크기는 Distance Vector(DV) algorithm을 사용하는 ISP의 각 라우터들이 전송하는 한개의 메세지 크기보다 크다.
-> 거짓
 
 
(13-2) 하나의 AS(Autonomous System)에서 어떤 라우터가 IGP 라우팅 프로토콜로 OSPF를 운영한다면, 해당 AS안의 나머지 모든 라우터들도 OSPF를 운영해야만 한다.
-> 참

'STUDY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5 Network Layer (2) & chap.6 Link Layer  (0) 2021.12.08
chap.5 Network Layer (2)  (0) 2021.12.01
chap.4 Network Layer (2)  (0) 2021.11.17
chap.4 Network Layer (1)  (0) 2021.11.10
Chap.3 Transport Layer (2)  (0) 2021.10.2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