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생 누르지 마세요! 컴공생 울어요.
chap.5 Network Layer (2) 본문
(14-1) 5개의 area로 구성된 AS에서 IGP로 OSPF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 각 라우터의 local network topology 정보는 AS 안의 모든 라우터들이 알게된다.
-> 거짓
(14-1) ASBR이 아닌 internal 라우터로 들어온(incoming) 패킷의 destination subnet 이 다른 AS에 속한 경우, next hop 라우터로 가기위한 output port 결정은 intra-AS routing protocl (IGP) 만으로도 결정할 수 있다.
-> 거짓
(14-1) Distance Vector algorithm의 단점인 count-to-infinity를 해결하기 위해 split horizon 방법을 사용한다면 어떤 라우터 A의 라우팅 테이블 엔트리들 중 특정 subnet에 도달하기 위한 next hop router가 B 인 경우, A는 B에게 해당 엔트리 정보를 주지 않는다.
-> 참
(14-1) IGRP는 interior gateway protocol로 표준 프로토콜이다.
-> 거짓
(14-1) Inter-AS routing protocol에는 EGP와 BGP가 있는데, 현재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라우터들이 BGP를 사용한다.
-> 참
(14-1) OSPF를 운영하는 AS에서 backbone area에 해당하는 area0는 Distance Vector 라우팅 알고리즘으로 area 들간의 라우팅 정보를 공유하므로 count-to-infinity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area0 에서는 loop free topology를 유지하는것이 망 운영자가 해야할 일이다.
-> 참
(14-1) RIP 라우팅 프로토콜은 5계층 프로토콜이다.
-> 참
(14-1) RIP는 path selection 계산시 hop count를 사용하나, OSPF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 참
(14-1) RIP에서 Distance Vector 테이블의 엔트리 중 특정 destination subnet으로 가기 위한 output port가 0 인 엔트리의 정보는 output port 0에 연결된 이웃 라우터에게는 전달하지 않아야 그 두 라우터 사이의 count-to-infinity를 막을 수있다.
->참
(14-1) Transit AS는 여러 AS들을 경유하는 트래픽들이 통과하는 반면, stub AS는 해당 AS로 도착하는(arriving) 트래픽 혹은 해당 AS에서 출발하는(departing) 트래픽만 존재한다.
-> 참
(14-1) 만일 peering 관계에있는 두 라우터가 서로 다른 ASN으로 설정되어있다면 두 라우터는 AS border router(ASBR)에 해당한다.
-> 참
(14-1) 서로 다른 AS에 연결된 두 source host와 destination host 사이의 end-to-end path는 가장 적은 수의 AS 를 경유하는 경로가 항상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 거짓
(14-1) 어떤 AS안에서 특정 destinaion subnet으로 가는 path가 여러개인 경우, RIP는 단 하나의 경로만 찾을 수 있으나, OSPF는 다양한 경로를 찾는 것이 가능하다.
-> 참
(14-1) 여러개의 area로 구성된 AS에서 IGP로써 OSPF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 area1에 속한 host와 area2에 속한 host 사이의 통신은 area1과 area2의 ABR(Area Border Router)들 사이에 직접 연결된 링크를 통해서 가능하다.
-> 거짓
(14-1) 인접하여 연결된 서로 다른 ISP가 동일한 OSPF를 사용하고 있다면 그 두 ISP 는 link cost 값으로 반드시 동일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링크 대역폭)를 사용해야 한다.
-> 거짓
(14-1) 한 홉을 통과하는 라우팅 메세지의 크기는 OSPF가 RIP 보다 더 크다.
-> 거짓
(14-2) ASBR 라우터는 자신이 속한 AS 안의 모든 라우터에게 point-to-point TCP 연결을 맺고 외부 라우팅 정보를 직접 전달한다.
-> 참
(14-2) ASBR은 다른 ASBR이 알려준 모든 inter-AS 경로 정보를 iBGP 세션으로 전달한다.
-> 거짓
(14-2) ASBR은 다른 AS에 속한 라우터(ASBR) 와는 eBGP TCP session 을 맺고 같은 AS에 속한 라우터들과는 iBGP TCP session 을 맺는다.
-> 참
(14-2) BGP 메세지 해더에 처음 등장하는 Marker field는 BGP 메세지의 시작을 구별하기 위해 두 BGP 프로세스 사이에 약속한 특정 패턴을 말하며, 이는 BGP가 4계층 프로토콜로 TCP를 사용하고 있으며 TCP는 byte-stream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 참
(14-2) BGP는 Distance Vector(DV)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계산된 경로가 세개이상의 AS를 포함할 경우 loop 발생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SP 들이 논의하여 AS들간의 연결에 loop이 없도록 topology를 형성한다.
-> 거짓
(14-2) BGP는 policy 기반으로 경로를 결정하는 프로토콜이므로 import policy와 export policy를 유지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import policy는 incoming traffic을 export policy는 outgoing traffic을 제어하게된다.
-> 거짓
(14-2) RIP는 홉 수가 더 많더라도 link bandwidth가 큰 경로를 찾을 수 있다.
-> 거짓
(14-2) 어떤 ASBR, A에서 동작하고 있는 BGP가 eBGP 세션을 통해 다른 ASBR, B로 부터 얻은(learn) 라우팅 정보를 내 AS 안의 라우터들에게 알려준(advertise) 다는 것의 의미는, 향후 해당 라우팅 정보에 포함된 subnet 으로 향하는 (destined) 패킷이 A 에게 오면 B로 전달(forward)하겠다는 의미이다.
-> 참
(14-2) 어떤 AS에 속한 라우터들 a, b, c, d 가 a -- b -- c -- d 로 연결되어 있다. ASBR 라우터인 a가 다른 AS에 속한 ASBR로 부터 얻은 경로 정보를 b, c, d에게 알려주기 위해서는 DV 알고리즘 동작방식에 따라 a가 b에게 전송하고, b가 update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c 에게 전달하고, 다시 c가 update 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d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파된다.
-> 거짓
(14-2) 외부 AS에 연결된 destination으로 가는 경로들 중 나의 AS를 가장 빨리 벗어나는 즉, 나의 AS 내부 경로 비용이 가장 적은 라우트를 선택하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Hot potato routing이라고 한다.
-> 참
(14-2) 어떤 destination subnet으로 가는 inter-AS route 정보의 AS_PATH 가 ( 100, 200, 300 ) 인 경우 (100, 200, 300은 ASN임), 해당 destination 이 속한 AS의 ASN은 ( 300 ) 이다.
'STUDY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5 Network Layer (2) & chap.6 Link Layer (0) | 2021.12.08 |
---|---|
chap.5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1) (0) | 2021.11.24 |
chap.4 Network Layer (2) (0) | 2021.11.17 |
chap.4 Network Layer (1) (0) | 2021.11.10 |
Chap.3 Transport Layer (2) (0) | 2021.10.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