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생 누르지 마세요! 컴공생 울어요.
chap.4 Network Layer (1) 본문
(10-2) 3계층은 호스트와 라우터 모두에 있으며 호스트에도 라우팅 프로토콜이 동작하고 있다.
-> 거짓
(10-2) Datagram packet switched network 에서 하나의 메시지에 속한 여러 개의 패킷들의 end-to-end path는 모두 같다.
-> 거짓
(10-2) Datagram packet switched network에 연결된 호스트들은 4계층 PDU가 내려오면 call set-up delay 없이 바로 패킷 encapsulation을 수행한다.
-> 참
(10-2) Datagram packet switching을 사용하는 라우터들은 어떤 packet들이 같은 message에 속한 packet인지 알 수 있다.
-> 거짓
(10-2) Internet Protocol (IP)는 no loss, in-order delivery를 지원한다.
-> 거짓
(10-2) Internet Protocol (IP)는 다양한 2계층 프로토콜위에서도 성공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 참
(10-2) Network layer의 main mission은 source host가 보내는 데이터를 destination host까지 전달하는 것이다.
-> 참
(10-2) Virtual circuit packet switching 은 datagram packet switching(Internet)과는 달리 데이터 전송전에 라우팅이 결정되나 하나의 메시지에 속한 여러 패킷들이 같은 path를 거쳐가지는 않는다.
-> 거짓
(10-2) Virtual circuit packet switching 은 datagram packet switching과는 달리 in-order delivery를 보장한다.
-> 참
(10-2) 라우터의 switching board의 처리속도인 switching rate은 line rate의 N 배로 구현되며 그 속도가 빨라 input buffer에서는 congestion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output buffer는 해당 포트로 포워딩되는 패킷 수 증가에 따라 queueing delay와 loss가 발생하게된다.
-> 참
(10-2) 새로운 패러다임의 SDN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라우터들은 control plane과 data plane이 물리적으로 다른 장비에서 운용된다.
-> 참
(10-2) 전통적인 per-router 방식 라우터의 output buffer에 있는 패킷들은 모두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한 패킷들이며, 라우팅 프로토콜 메세지를 포함한 패킷은 없다.
-> 거짓
(10-2) 하나의 메시지가 여러 개의 패킷으로 쪼개어 전송될 때 3계층 해더는 메시지의 가장 앞부분에 해당하는 패킷에만 포함된다.
-> 거짓
(11-1) Head-of-the-Line (HOL) blocking 현상은 라우터의 output buffer에서 발생한다.
-> 거짓
(11-1)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l)은 라우터만 생성할 수 있으며 호스트에서 보내는 경우는 없다.
-> 거짓
(11-1) Interconnection network 구조의 스위칭 보드를 가진 라우터에서 다른 input port에 도착한 두개의 패킷을 동시에 같은 output port로 스위칭이 가능하다.
-> 거짓
(11-1) IPv4 라우터는 IP fragmentation은 해도 reassembly는 하지 않는다.
-> 참
(11-1) Network neutrality 는 IPv4 해더의 Type of Service (ToS) 필드을 이용해서 라우터의 output buffer에서 서비스 우선순위를 제어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 참
(11-1) Network neutrality 는 라우터를 지나가는 패킷들을 차별하지 않고 같은 수준의 우선순위로 처리한다는 의미이다.
-> 참
(11-1) source host에서도 IP fragmentation이 일어날 수 있다.
-> 참
(11-1) source host에서 TTL을 5로 설정한 패킷의 end-to-end path가 source host - A - B - C - D - E - F - G - destination host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패킷은 ( E ) 에서 소멸된다.(참고:라우터가 incoming packet의 TTL 값을 1 감소시킨 후 그 값이 0이면, 해당패킷을 즉시 제거하고 ICMP 메세지를 source host에게 보낸다.)
(11-1) source host와 destination host 사이에 A, B, C 라는 라우터를 거쳐갔다고 가정할때, IPv4 fragmentation은 A, B, 혹은 C에서만 일어난다.
-> 거짓
(11-1) source host, S 와 destination host, Z 사이에 A, B, C, D, E, F 라는 라우터들만이 순서대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때, 즉 e2e path가 S-A-B-C-D-E-F-Z일때, A에서 IPv4 fragmentation이 발생했다면, reassembly는 B, C, D, E, F, Z 중 ( Z )에서 일어난다.
(11-1) source host와 destination host 사이의 중간 라우터에서 IPv4 fragmentation이 발생하여 하나의 패킷, P가 세개의 패킷들 P1,P2,P3로 쪼개졌다. 이후 reaseembly를 하는 과정에서 P3가 도착하지 않았다면 결과적으로 TCP segment loss가 된다.
-> 참
(11-1) source host와 destination host 사이의 중간 라우터에서 IPv4 fragmentation이 발생해서 하나의 패킷P가 세개의 패킷들 P1,P2,P3로 쪼개졌다면 P1,P2,P3은 이후 모두 동일한 경로로 전송된다.
-> 거짓
(11-1)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라우터에만 존재하며 호스트에는 없다.
-> 참
(11-1) 어떤 호스트에서 40byte 짜리 인터넷 응용 메세지 M을 생성하였다. 이 M을 TCP/IP 를 사용하여 전송한다면, 이때 만들어진 패킷의 ( 50 )%가 오버해드에 해당한다. (숫자만 적으시오)
(11-1) 어떤 호스트에서 100byte 짜리 인터넷 응용 메세지 M을 생성하였다. 이 M을 TCP/IP 를 사용하여 전송한다면, 이때 만들어진 패킷은 M에 40byte의 오버해드가 추가된다.
-> 참
(11-1) 인터넷 라우터와 호스트에서 사용되는 2계층 프로토콜은 다양할 수 있으나, 3계층은 모두 IP (Internet Protocol)을 사용한다.
-> 참
(11-1) 인터넷 라우터의 평균 버퍼크기는 Round Trip Time (RTT), 링크 capacity (R) 그리고 TCP 연결수에 영향을 받는다.
-> 참
(11-1) 인터넷 패킷의 body(payload) 는 반드시 4계층 프로토콜인 TCP segment 혹은 UDP datagram 중 하나이다.
-> 거짓
(11-1) 인터넷에서 라우팅 오류로 인해 destination host를 찾지못하고 라우터들 사이에 불필요한 forwarding이 반복될때, 이러한 packet을 사람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IP 해더필드는 Time-To-Live (TTL)이며 이는 IPv4에만 있다.
-> 거짓
(11-1) 전통적인 Internet 라우터는 먼저 도착한 패킷에게 priority를 주는 FCFS 방식으로 output buffer의 패킷들을 서비스한다.
-> 참
(11-2) (강의중 칠판에 적었던 것과 관련된 문제) DHCP 클라이언트(a 라고 하자)가 well-known port를 사용하지 않고 OS가 임의로 할당한 포트번호(66630이라고 가정)를 사용하는 경우, a 가 아직 IP주소가 없으므로 a가 열어놓은 UDP 소켓의 ID는 (255.255.255.255, 66630)가 된다. 이때 DHCP 서버가 보내는 response 메세지가 broadcast 주소 (255.255.255.255)로 전송되므로 a 외에도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호스트들(예를들어 B,C,D)도 받게되는데, 이때 호스트 D에 있는 어떤 응용(d 라고하자)이 DHCP 처럼 255.255.255.255주소를 사용하여 소켓을 열었고, 하필 OS가 그 응용에게 포트번호를 66630로 할당했다면, DHCP 서버가 a 에게 보내는 response 메세지를 의도치않게 d도 받게된다.
-> 참
(11-2) BootP를 사용하는 호스트는 부팅할때 마다 항상 동일한 IP 주소를 설정하는 반면, DHCP를 사용하는 호스트는 여러번의 인터넷 접속을 할때마다 다른 IP 주소를 설정하게 된다.
->참
(11-2) Classful IPv4 addressing에서 class B type은 하나의 subnet에 2의 16승(65536)개의 host IP주소 설정이 가능하나, 이중 두개는 네트워크ID와 broadcast 주소로 사용된다.
->참
(11-2) DHCP 서버는 DHCP 클라이언트에게 영구적(permanently)으로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를 할당해 준다.
-> 거짓
(11-2) DHCP 프로토콜은 5계층 프로토콜이며, 주고 받는 데이터가 중요하므로 TCP를 사용한다.
-> 거짓
(11-2) DHC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well-known port를 사용한다.
-> 참
(11-2) Private IPv4 주소들을 동시에 여러 ISP에서 사용될 수 있다.
-> 참
(11-2) Wireshark는 broadcast 로 동작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지나가는 패킷을 sniffing하여 그 내용을 볼 수 있는 software이다.
-> 참
(11-2) 같은 subnet에 속한 두 호스트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도 반드시 3계층 라우터의 forwarding 기능이 필요하다.
-> 거짓
(11-2) 인터넷 라우터는 패킷 포워딩을 위해 destination IP 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가 있는지 FIB 테이블을 검색한다. 이때 destination IP 주소의 subnet part와 host part를 모두 비교한다.
-> 거짓
(11-2) 처음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기에 네트워크를 설정할때 (기기의 NIC 카드에 할당할 IP주소, gateway router의 IP 주소 그리고 DNS 서버의 IP 주소) 정보를 알아야한다.
-> 참
(11-2) 평균 인터넷 연결 시간이 짧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 DHCP가 적절하며, 이런 경우 적은 갯수의 IP주소를 이용해서 그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는 효과가 난다.
-> 참
(11-2) 호스트는 NIC 카드 갯수와는 달리 항상 한개의 IP주소만 설정할 수 있다.
-> 거짓
'STUDY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5 Network Layer (2) (0) | 2021.12.01 |
---|---|
chap.5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1) (0) | 2021.11.24 |
chap.4 Network Layer (2) (0) | 2021.11.17 |
Chap.3 Transport Layer (2) (0) | 2021.10.20 |
Chap.3 Transport Layer (1)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