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생 누르지 마세요! 컴공생 울어요.
chap.4 Network Layer (2) 본문
(12-1) IPv4 주소에서 subnet part가 27이라면 네트워크 식별자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하고 실제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될 호스트에 할당할 수 있는 IPv4 주소는 ( 30 ) 개이다. (숫자만 적으시오.)
(12-1) 만일 어떤 ISP가 subnet part가 21 인 IP 주소 블락을 받아와서 16개의 subnet으로 나누려고 한다면, 각 subnet의 호스트에 할당되는 최종 IP 주소의 subnet part는 ( 25 ) 비트가 된다. (숫자만 적으시오.)
(12-1) IPv4 address 길이는 32bytes 이다.
-> 거짓
-> 거짓
(12-1) NAT 기술은 private network안의 IP 주소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아 개별 호스트가 공격당하지 않는다는 security 측면의 장점이 있다.
-> 참
(12-1) NAT 기술이 생성된 근본적인 이유는 IPv4 주소 고갈때문이다.
-> 참
(12-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IPv4 주소를 IPv6주소로, 혹은 그 반대로 매핑하는 기능을한다.
-> 거짓
(12-1) 라우터가 forwarding할때는 destination IP 주소의 subnet part만 본다.
(12-2) IPv4 해더 중 ToS, Total Length, Time-to-Live, Upper-layer-protocol, 이 네 개의 필드들은 각각 Traffic class, Payload length, Next header, Hop-limit이라는 이름으로 그 기능이 IPv6에 남아있다.
-> 참
(12-2) IPv4 해더와 IPv6 해더 크기는 모두 고정되어있으며, 각각 20bytes 와 40bytes 이다.
-> 거짓
(12-2) IPv6 프로토콜의 설계 원칙은 보다 빠르게 패킷을 처리하는 것이므로, IPv4에서 하던 packet fragmentation은 하지 않으나, 패킷 해더 정보의 integrity는 중요하므로 여전히 checksum은 하고있다.
-> 거짓
(12-2) IPv6에서도 IPv4처럼 QoS 관련 필드가 존재한다.
-> 참
(12-2) NAT-PT는 IPv4 패킷을 IPv6 패킷으로 변환하는 기술로, 최근 NAT64로 재표준화 되었다.
-> 참
(12-2) SDN 망에 연결된 호스트에서 생성한 패킷들은 특정 노드들로 구성된 end-to-end path를 통과하도록 제어하는것이 가능하다.
-> 참
-> 참
'STUDY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5 Network Layer (2) (0) | 2021.12.01 |
---|---|
chap.5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1) (0) | 2021.11.24 |
chap.4 Network Layer (1) (0) | 2021.11.10 |
Chap.3 Transport Layer (2) (0) | 2021.10.20 |
Chap.3 Transport Layer (1)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