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생 누르지 마세요! 컴공생 울어요.

chap.5 Network Layer (2) & chap.6 Link Layer 본문

STUDY/컴퓨터 네트워크

chap.5 Network Layer (2) & chap.6 Link Layer

당도최고치악산멜론 2021. 12. 8. 14:45
(15-1) ICMP 메세지안에 에러가 발생한 IP 패킷 payload의 첫 8 byte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최종적으로 해당 패킷를 만든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포트번호를 알려주기 위함이다.
-> 참
 

(15-1)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은 SDN 처럼 control plane이 data plane 과 물리적으로 다른 곳에서 운영되므로 SDN 처럼 least-cost path 가 아닌 의도적인 path 설정이 가능하다.

-> 거짓

 

(15-1) SDN 구조에서 라우팅 프로토콜은 SDN controller에서 동작한다. 

-> 거짓

 

(15-1) SDN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control plane은 실제 가입자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와는 분리된 서버에서 운영(operate)되는데, 그때 그 서버는 물리적으로 언제나 한개이다.

-> 거짓

 

(15-1) SDN에서는 least cost path 외에 운영자가 원하는 특정한 end-to-end path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 참
 
(15-1) SDN은 scaliability의 첼린지가 있어 특정목적을 가진 망에 적합니다.
-> 참
 
 
(15-1)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은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제어하기위해 관리서버와 관리대상 에이전트 사이에 주고받는 프로토콜로 정기적으로 간단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므로 초기 연결지연이 없는 UDP를 사용한다.
-> 참
 
 
(15-1) SNMP를 사용하여 망을 관리할때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는 관리자 서버에만 존재한다.
-> 거짓
 
(15-1) 가입자의 패킷이 지나다니는 패킷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flow table을 생성,변경하는 주체는 openflow 같은 SDN contoller이다.
-> 거짓
 
(15-1) 중간라우터에서 incoming packet에 문제가 생겨 버린경우, ICMP 메세지를 생성하여 해당 packet의 destination address에 해당하는 host로 전송한다.
-> 거짓
 
 
(15-2) 특정 NIC 에 설정된 IP address와 MAC 주소의 매핑 테이블을 ARP table이라고 한다.
-> 참
 
 
(15-2) L2-switch에는 버퍼가 있어 포트마다 다른 대역폭을 가지는 링크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허브는 버퍼없이 flooding 하므로 모든 포트에 연결된 링크의 대역폭이 동일해야한다.
-> 참
 
(15-2) L2-switch의 각 포트들은 3계층 IP 주소는 없으나 2계층 MAC 주소는 있다.
-> 거짓
 
 
(15-2) MAC 주소 길이는 48 byte 이다.
-> 거짓
 
(15-2) Wireless network에서 어느 두 노드(호스트) A와 B가 공통으로 통신이 가능한 노드 P가 있는데, A와 B는 통신거리(radio range) 밖에 있거나 둘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 서로의 신호가 P에서 충돌(collicion detection)하는 것을 감지할 수 없는 현상을 Hidden Node Problem이라고 한다.
-> 참
 
 
(15-2) 두 host를 연결하는 end-to-end path 에서 경유하는 라우터들은 모두 동일한 source IP address와 destination IP address를 보고 라우팅을 결정한다.
-> 참
 
(15-2) 두 host를 연결하는 end-to-end path 에서 한 홉을 지나갈 때 2계층 주소는 모두 동일하다.
-> 거짓
 
 
(15-2) 어떤 NIC 카드에 할당된 3계층 IP 주소는 위치에따라 변하는 주소이나, 2계층 MAC 주소는 변하지 않는다.
-> 참
 
(15-2) 노트북을 가지고 학교에가서 구글 홈페이지에 접속하려고 한다. 이러한 동작이 완성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토콜들은 (1) --> (2) --> (3) --> (4) 순서로 동작된다. 각 번호에 맞는 프로토콜을 알맞게 연결하세요.
(1) DHCP
(2) DNS
(3) TCP
(4) HTTP
 
(15-2) 앞 문제에서 OOO 프로토콜이 첫 데이터를 보낼때 ARP가 처음 동작하게된다. (TCP, DHCP, HTTP, DNS 중 하나를 적으시오.)
-> DNS

'STUDY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5 Network Layer (2)  (0) 2021.12.01
chap.5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1)  (0) 2021.11.24
chap.4 Network Layer (2)  (0) 2021.11.17
chap.4 Network Layer (1)  (0) 2021.11.10
Chap.3 Transport Layer (2)  (0) 2021.10.20
Comments